본문 바로가기

두드림학교 개선방안2

두드림학교 개선방안2 두드림학교의 주요 개선방안에 대해서 지난 블로그 내용에 이어 이야기 해보려 한다. 먼저, 가장 큰 문제는 아이들의 학습이 지속적으로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며, 강사가 일회적으로 계약되기 때문에 전문성이나 안전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별로 수준이나 학습 스타일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2명 이상일 경우 혼자 맞춤형으로 진행하는 것보다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 기초학습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이 많기 때문에 정서 전문 교육이 함께 필요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연중 시스템 도입 문제: 보통 5월쯤 시작하여 11~12월에 끝나며, 방학 기간은 공백. 연속성 부족. 5월에 시작하는 것도 따라가기 매우 늦은 시간임. 개선안:3월 조기.. 2025. 6. 22.
두드림학교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방안 우선, 두드림학교 시스템은 기초학력이 부족한 느린 학습자들을 위한 아주 좋은 교육 정책이라 생각한다. 30명 가까이 되는 학생들의 실력 차이는 천차만별! 이런 학생들에게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선생님들은 힘든점이 이만 저만이 아닐 것이다. 잘하는 아이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자니,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따라오질 못하고, 그렇다고 힘들어 하는 아이들을 끌고 가자니 잘하는 아이들이 지루해 한다. 따라서 힘들어 하는 학생들도 교과 수업을 재밌게 따라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두드림학교 기초학력지원 수업은 매우 좋은 교육정책임에 분명하다. 인구 소멸의 위기에 있는 한국에서 한 명의 인재도 놓치지 않고 귀하게 가르치겠다는 교육청의 의지가 돋보인다. 하지만, 두드림학교 강사가 아이들을 가르치며 실제로 겪는 문.. 202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