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핫클립

유튜브 리뷰, 올해 봄 옷 사지 마세요! 4월부터 폭염 이상 기후

by digester 2025. 3. 19.

유튜브 리뷰는 유퀴즈 온더 블럭, 알쓸별잡, 어쩌다어른에 나온 이상기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봄 옷 사지 마세요! 4월 폭염 시작, 이상기후에 대처하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BbyXHPUGBE

 

 

1. 올겨울 역대급 한파가 온다? 기후 위기의 충격적인 현실



올해 여름, 유례없는 폭염을 경험한 우리. 이제 겨울을 맞이할 준비가 되었을까요?

기상학자 김혜동 교수님은 "올겨울, 역대급 한파가 찾아올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한편, 기상청에서는 "평년보다 따뜻한 겨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말이 맞는 걸까요?

 

2. 기후 변화의 흔들리는 경계선

 


김 교수님은 기온이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즉, 평년보다 따뜻한 날이 있더라도 갑작스러운 한파가 덮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죠. 실제로 최근 몇 년간, 폭염과 한파가 교차하며 나타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3. 기후 위기의 원인과 영향

 


이러한 변화는 결국 '지구 온난화' 때문입니다. 아니, 이제는 '지구 가열화'(Global Boiling)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지도 모르겠네요.

산업혁명 이후로 지구의 평균 온도가 1.2도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1.2도 정도면 별거 아닐 수도 있지 않나?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단순한 온도 상승이 아닙니다. 지구 전체의 온도가 1.2도 상승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과학자들의 계산에 따르면, 1800년부터 현재까지 지구가 흡수한 에너지는 매초 원자폭탄 네 개를 터뜨린 것과 같다고 하니 그 심각성이 실감 나죠.

 

4. 우리가 직면할 미래

 


만약 지구 온도가 2도 상승한다면, 4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리게 되고, 쌀, 감자, 김치 등 주요 식량 생산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합니다. 3도 상승하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서울, 인천, 김포 등 수도권까지 물에 잠길 위험이 커집니다.

특히, 한국은 사계절에 맞춰 사회, 경제, 교육 시스템이 돌아가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사계절의 경계가 무너지면 모든 것을 새롭게 설계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5. 기후 위기, 개인이 할 수 있는 일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일회용품 줄이기: 텀블러, 에코백 사용하기

** 탄소 배출 줄이기: 대중교통 이용, 자동차 대신 자전거 활용

** 기후 변화 대응 시스템 구축: 건축 기준 강화, 도시 설계 개선

이러한 작은 실천들이 모이면 사회적 관심이 되고, 결국 정책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지금, 우리가 움직여야 할 때입니다.